[단백질 분석]
단백질 (Protein) 이란?
- 동, 식품, 미생물의 생체조직에 중요한 구성요소
- 아미노산들이 펩타이드(Peptide) 결합으로 결합된 분자량 500 ~ 수백만의 고분자 화학물
- 구성 원소 : 산소 20 ~23%, 탄소 50~55%, 수소 6~8%, 질소 15~18%, 황 0~4%, 인, 기타 미량 원소
조단백질(Crude Protein) 이란 ?
- 지방이나 탄수화물도 질소 함유
- 단백질이 아니면서 질소를 포함하는 물질 : 아민(amide) 화합물, 퓨린(purine) 염기, 크라아틴(creatine) 등
- 단백질 평균 질소 함량 : 약 16%
- 조 단백질 = 총 질소량 x 질소계수(6.25)
* 질소계수는 식품에 따라 다름
- 적적한 계수는 그 식품의 우세 단밸질을 기초로 하여 결정
예) 쌀 : 5.95, 소맥배유 : 5.70
단백질 분석은 식품공전에 명시되어 있는 것처럼 킬달(Kjeldahl)법으로 분석하는 것이 공식 분석법입니다.
킬달(Kjeldahl) 분석법
단백질 공식 분석법(식품공전)
킬달(Kjeldahl) 질소정량법 이란?
- 시료 중에 포함된 질소의 함량을 측정하는 분석법
- 1883년에 요한 킬달(Johan Kjeldahl)에 의해 제안되어 100년 이상 사용된 분석법
- 탁월한 신뢰성
- 유기물 중 질소 분석의 국제적 표준 분석법
- 질소화학물인 단백질 분석에 응용
분석 방법
킬달(Kjeldahl)
분석방법은 크게 시료 분해, 증류, 적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지방 분석]
지방(Fat)의 정의???
- 지방(Fat)은 물에 불용성이며, Ether, 석유 Ether등 유지 용매에 녹는 일군의 화합물로서 탄수화물, 단백질과 함께 3대 영양소 입니다.
- 연소하게 되면 38.9KJ/g의 열량을 생성하여 동,식물체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 화학적으로는 지방산과 Glycerin의 Ester
[조지방(Crude Lipid)]
: 식품 중의 지방은 유기용매(Ether, Hexan, Aceton, Alcohol, Chlroroform)에 용해되므로 추출이 가능하며, 추출 후, 용매를 증발시켜 중량법으로 지방함량을 결정합니다. 이 때, 순수 지방만이 아닌 각종 색소, 왁스, Alkaloid, 유기산도 같이 용해됩니다. 그러나 추출물 중 대부분이 지방이므로 시료 중 추출물의 함량을 지방 함량으로 하며 이를 조지방(Crude lipid) 이라고 합니다.
조지방 분석법(Method)
Soxhlet Extraction
Soxhlet Extraction
속실렛 추출법(조지방 분석법)
: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Fat 분석법
[ 분석법 순서 ]
1. 시료전처리( 건조, 분쇄, Na2SO4탈수, Cu(OH)2 침전)
중요!!! 육류, 유제품, 곡류 등은 가수분해로 분자 구조를 깨줘야 추출이 잘 되기 때문에 공식(official)적으로 위 제품들의 지방분석을 할 때는 "가수분해"를 해야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 Petroleum ether, diethyl ether등 저비점의 용매로 시료 중의 지방 추출
3. 건조
4. 무게 측정
5. 지방 함량 결정
[조섬유 분석]
조섬유란 대개 다댱류로 구성된 생물 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로 세포벽과 셀룰로오스, 혜미 셀룰로오스 및 리그닌 등의 섬유관련 물질과 단백질, 팩틴, 물 및 회분과 분해되지 않는 나머지 물질 등 다양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순수한 섬유소만으로 측정되지 않기 때문에 섬유 관련 물질들을 통칭하여 조섬유라고 합니다.
섬유소 자체는 직접적으로 인체의 영양소라고 할 수는 없지만 반추, 비반추 동물(Ruminants)의 영양성분을 흡수하는 소화력에 관련된 수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 조섬유를 측정함으로써, 식품, 사료 성분의 섬유질의 함량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식품 및 사료 회사에서 조섬유 함량을 분석하여야 합니다.
조섬유 분석법
1860년에 개발된 Weende 분석법은 사료 분야에서 조섬유(Crude Fiber)분석을 위하여 사용되고, 이를 보완한 1960년에 개발된 Van Soest 분석법은 식품 및 사료분야에서 불용성 섬유(Detergent Fiber)의 분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샘플 전처리
2. 샘플 무게 측정
3. FiberROC
4. 샘플 건조
5. 샘플 무게 측정
6. 회화 과정(CF)
7. 샘플 함량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