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racatometer, 굴절계]
빛에 대한 물질의 굴절률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 굴절률수치, Refractive index(RI)를 구현하는 장비입니다.
굴절률(RI)은 보통 통상적 의미의 절대굴절률을 의미하는데 이는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를 1로 정의했을 때, 매질에서의 빛의 속도와의 비로 표현합니다. 빛은 진공에서 가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통상적 의미의 절대굴절률은 보통 1보다 큽니다. 그리고 매질에서는 입자의 존재때문에 빛의 속도가 느려지므로 매질의 농도와 절대굴절률은 비례합니다. 즉 매질의 농도가 증가하면 매질에서의 빛의 속도는 감소하며, 굴절률은 증가합니다. 슈미트한센(Schmidt-Haensch)사의 VariRef 굴절률측정기는 농도 측정기(Concentration meter)로 응용할 수 있습니다.
[Polarimeter, 선광도측정기]
광학 측정 장치로서는 가장 오래된 방법 중 하나로, 광학 활성 물질의 선광도(Optical rotation)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편광필터에 의해 편광된 빛이 광학 활성 물질을 통과하여 해당 광면이 좌우로 회전된 정도를 측정합니다. 일반적으로 광확활성을 가진 유기화합물의 정량, 정성 분석에 응용됩니다. 선광도(Optical rotation)는 Biot's law에 의해 용액의 농도, 온도, 투과 길이 등을 고려하여 비선광도(Specific rotation)의 계산값으로 응용되기도 합니다.
거울상 이성질체(enantiomer)의 경우 물리, 화학적 성질은 전부 동일하지만 광학 활성만 차이가 있어 동일한 분자식이라도 다른 선광도값을 보입니다. 슈미트한센(Schmidt-Haensch)사의 VariPol 선광도측정기는 이성질체 유기화합물의 선광도, 비선광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Density Meter, 밀도 측정, 밀도 측정기]
액상 용액의 밀도(Density)를 측정할 수 있는 밀도계 입니다. U자 모양을 가진 Tube에 일정량의 샘플을 충진합니다.
Reference 진동자를 이용하여 진동을 주면, 시료마다 고유진동수를 나타내게 됩니다. 고유진동수는 기기 내부의 검출 부위에 의해 밀도값으로 평가됩니다. 밀도 p, density (g/mL 또는 g/cm3)는 물질의 단위부피당의 질량을 의미합니다.
동일한 질량에서 부피는 온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밀도가 감소합니다. 또한 온도가 낮아지면 부피 역시 감소하기 때문에 밀도는 증가합니다.
슈미트한센(Schmidt-Haensch)사의 VariDen 밀도측정기는 시료의 온도를 완벽하게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밀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밀도는 굴절률측정기와 마찬가지로 용액의 농도측정에 응용할 수 있으며, 석유화학 분야에서는 API 지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